728x90
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
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 n을 d(n)의 생성자라고 한다. 위의 수열에서 33은 39의 생성자이고, 39는 51의 생성자, 51은 57의 생성자이다. 생성자가 한 개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. 예를 들어, 101은 생성자가 2개(91과 100) 있다. 생성자가 없는 숫자를 셀프 넘버라고 한다.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셀프 넘버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def num_make(d):
num = 0
for x in range(len(d)):
num += int(d[x])
return (num + int(d))
if __name__ == "__main__":
data = list(range(1,10001))
for i in range(1,10001):
try:
data.remove(num_make(str(i)))
except:
pass
for j in data:
print(j)
셀프 넘버를 출력하기 위해서, 기본 리스트에서 생성자를 제외하고 출력하게 끔, 조악한 코드를 출력했다.
'코드연습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OJ 1316 : 그룹 단어 체커 (0) | 2022.04.08 |
---|---|
BOJ 2941 : 크로아티아 알파벳 (0) | 2022.04.08 |
BOJ 2908 : 상수 (0) | 2022.04.07 |
BOJ 2675 : 문자열 반복 (0) | 2022.04.07 |
BOJ 1065 : 한수 (0) | 2022.04.06 |